아버지
김훈
아버지를 묻을 때 나는 육군에서 갓 제대한 무직자였다. 벌써 30년이 되었다. 아버지는 오래 병석에 누워 계셨다. 병장계급장을 달고 외출 나와서 가끔식 아래를 살펴드렸다. 죽음은 거역할 수 없는 확실성으로 그 언저리에 와 있었다. 아래를 살필 때, 아버지도 울었고 나도 울었다. 관이 구덩이 속으로 내려갈 때 내 어린 여동생들은 따라 들어갈 것처럼 땅바닥을 구르며 울었다. 불에 타는 듯한, 다급하도도 악착스런 울음이었다. 나는 내 여동생들을 꾸짖어 단속했다.
-요사스럽다. 곡을 금한다.
내 아버지께 배운 말투였다. 여동생들은 질려서 울지 못한다. 아버지 관이 내려갈 때 나는 비로소 내 여동생들 '오빠'라는 운명에 두렵고도 버거운 충만감을 느꼈다. '오빠'라는 호칭은 지금도 나에게 두렵고 버겁다. 나는 그 아버지의 아들이었다. 지금은 한식날 아버지 무덤에 성묘 가서도 나는 울지 않는다. 내 여동생들도 이제는 다들 나이 먹어서 울지 않는다. 슬픔도 시간 속에서 풍화되는 것이어서, 30년이 지난 무덤가에서는 사별과 부재의 슬픔이 슬프지 않고, 슬픔조차도 시간 속에서 바래어지는 또 다른 슬픔이 진실로 슬펐고, 먼 슬픔이 다가와 가까운 슬픔이 자리를 차지했던 것인데, 이 풍화의 슬픔은 본래 그러한 것이어서 울 수 있는 슬픔이 아니었다. 우리는 오랫동안 울지 않았고, 우리가 울지 않는 세월에도 새로 들어온 무덤에서는 사람들이 울었다.
이제는 울지 않는 자들과 새로 울기 시간한 자들 사이에서 봄마다 풀들은 푸르게 빛났다.
내 아버지는 공회전과 원점 회귀를 거듭하던 한국현대사 황무지에 맨몸을 갈았고, 비명을 지르며 그 시대를 좌충우돌했다. 그의 생업은 신문기자이거나 소설가였는데, 밥을 온전히 먹을 수 있는 노동이 아니었다. 그는 장강대하長江大河 술을 마셨고, 이승만 정권, 장면 정권, 박정희 정권을 향해 활화산과도 같은 저주를 품어냈다. 폐지 수거하듯 매절원고를 몰아서 원고료를 잘라먹는 출판업자들과 외상값을 독촉하는 술집주인들, 호적초본을 떼어주면서도 턱으로 사물을 가리키는 구청직원들, 껌을 씹으며 병실에 들어오는 간호사를 그는 이를 갈며 증오했다. 그는 문협 이사장 선거와 에총 회장 선거를 증오했고, 신문 연재소설이나 대학 선생자리를 얻으려고 쇠고기 몇 근을 싸가지고 권력자를 찾아다니는 자들의 가엾은 몰골을 연민했으며, 소인잡배 들끓는 한국문단을 버러지처럼 경멸했다.
아버지는 한 달에 두어 번씩만 집에 다녀갔다. 아버지가 오시는 새벽에 나는 주전자를 들고 시장에 가서 해장국을 사다드렸고,아버지가 누운 방 아궁이에 장작불을 땠다. 새벽에 오신 아버지는 나에게 천자물을 써보라고 하셨다. 그리고 날이 밝으면 어디론가 또 나갔다. 우리는 아버지의 행선지를 묻지 않았다. 우리가 셋방에서 이사를 할 때도 아버지는 오지 않았다. 아버지는 며칠 뒤 복덕방에 물어서 찾아오곤 했다.
"너희는 배산임수도 모르느냐?"고 아버지는 우리를 야단쳤다. 아버지는 돈이 생기면 장안의 술값을 다 냈다. 아는 아버지를 찾으러 나갔다가 술집에서 만난 적도 있었다. 홀 전체 술값을 내는 아버지를 보고, 나는 언제나 좀 저래보나 ... 하면서 숭앙했다. 상하이 임정에서 한 생애를 보낸 아버지는 김구 기일이 되면 효창공원 묘소에 가서 술을 마셨다. 아버지는 땅에 쓰러져 "선생님 선생님"을 부르며 새벽까지 울었다. 청년 작가 김승옥이 단편소설 '무진기행'을 발표했을 때 아버지의 문인 친구들은 우리 집에 모여서 술을 마셨다. 그들은 "김승옥이란 녀석"의 놀라움을 밤새 논했다. 새벽에 아버지는 "우리들 시대는 이미 갔다"고 외치면서 울었다.
나는 고등학교 때 담배를 배웠다. 다른 아이들이 권련을 피울 때 나는 아버지의 파이프를 훔쳐서 피웠다. 학교에서 파이프를 피우다가 선생님한테 뺏기고 벌을 섰다. 다음날 아버지가 학교에 와서 파이프를 받아냈다. 아버지는 그 파이프를 나에게 돌려주었다. 그때 아버지는 말했다.
- 학교에는 가져가지 말라. 너, 담배 줄여.
아버지는 자상하지 않았고 가정적이지 않았다. 아버지는 가난했고 거칠었고 늘 울분에 차 있었다. 아버지는 그 불모한 시대의 황무지에 인간의 울분과 열정을 뿌리고 갔다. 나는 언제나 그런 아버지의 편이었다. 아버지 육신도 이제는 풍화가 끝나 편안할 것이다. 지난 한식 때 새로 심은 잔디가 잘 퍼져 있다.
'산문 - 필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인호 씨를 보내며 / 임철순 (0) | 2013.09.27 |
---|---|
냉면 / 류영택 (0) | 2013.08.19 |
보름달 뜬 누각 위에서 괴테와 함께 / 천양희 (0) | 2013.03.18 |
요동벌의 한 울음 / 박지원 (0) | 2013.02.02 |
도요 할머니, 안녕! (0) | 201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