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자, 책이랑

누워서 읽은 책

칠부능선 2016. 6. 3. 15:33

                              

                           목을 다치고 처음 며칠은 머리가 욱신거려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다.

                           내 긴 목 위에 얹혀있던 머리가 그렇게 무거웠던가. 돌, 아니, 쇠덩어리같았다. 그것을 움직일때마다 찌리릿 전기충격을

                           가하는 듯한 통증이 가격해왔다.

                           통증크리닉에서 주사를 수차례 투하하고 나니 한 이틀 멀쩡했다. 통증을 다만 내가 느끼지 못하게 하는 강력 진통 장치인 듯,

                           통증크리닉에서의 주사 자체가 무진장 공포스럽고 아프다. 독성이 강하다는 뜻?

                           반응은 느려도 한의원을 꾸준히 다니고 있다. 혈액순환을 돕는다는 한약도 먹으며... 완전 엎드려 몸에게 충성 중이다.

 

                           누워서, 옆으로 몸을 구슬려가며 읽은 책이다.

                           한 손에 들어오는 강호형 선생님의 <빈 자리>가 젤로 편했다. 원로 선생님의 책을 누워 읽는 게 송구스러웠지만 단방에

                           읽히는 매력이 있다. 특별할 것 없는 일상이 반짝이며 다가온다. 묵은지의 깊은 맛이라고 할까. 감사, 감사~~

                           

                           <구상 시인의 타자윤리 연구> 대녀의 문학박사 논문이다.

                           이건 의리로 끝까지 읽어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구상 시인을 선택한 것이 그의 본색이다. 단정하고 신심깊고, 반듯한 성품이 그대로

                           드러나있다. 내가 살아보지 못했던 시대를 산 구상 시인의 삶을 가까이 느꼈다. 생각보다 잘 읽혔다.

                          

                           강금희 선배의  <잠의 뱐덕>, 수필집 한권을 내고 시로 전향(?)했다. 뱐덕은 변덕의 동의어다. 확실히 변덕보다는 시적이다.

                           깜짝 놀랄만큼 시가 좋다. 연륜과 고정관념을 뛰어넘었다. 내 관점으로...

           

                           <고슴도치의 우아함> 미루님의 블로그에서 발췌글을 보고 주문한 책이다.

                           하드커버라서 한 손에 들어오지는 않는데 한번 잡으니 놓아지지가 않는다. 천재소녀의 '심오한 사고'와 '세계 운동에 관한 고찰'이

                           우아함은 속에 깊숙히 장착하고 고슴도치의 형상을 한 쉰네 살 여자 수위의 일상과 교차로 펼쳐진다.

                           난 어느 순간 이 두 이야기를 교직하는 게 답답해졌다. 천재소녀의 이야기를 미루어두고 마르크스를 읽고, 톨스토이에 심취한

                           수위에게 몰두했다. 그리고 되집어서 다시 읽었다. 겉으로 보이는 게 다가 아니다. 보석을 간직한 사람은 겉모습이 어떻든지

                           서로를 알아본다. 기분 좋은 반전이 너무 짧다.

                           삶이 그런거지 뭐... . 깊은 숨을 쉰다.

                        

 

 

 

'놀자, 책이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베라는 남자>와 꼰대  (0) 2016.07.10
북콘서트  (0) 2016.06.13
착한 책 3  (0) 2016.04.13
<폐허를 보다>   (0) 2016.04.08
육체 탐구 생활 - 유쾌한 결혼식  (0) 2016.02.20